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그거 아세요? 민생회복지원금 1차는 전 국민이라고 알고 계시지만, 대부분 2차는 못 받을 거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하지만 모르면 손해!!
    2차 대상자 간단 확인 방법 알려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건강보험료 계산기에 소득금액 입력하면

    바로 2차 대상자 예상 확인을 하실 수 있어요!!

    민생회복지원금-2차-대상자-조회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민생회복지원금 2차 대상자 조건은?

    ✔ 1차 지급 이후에도 주민등록상 거주지 기준 충족자

     


    ✔ 소득 하위 기준 + 카드 발급 요건 충족한 세대

     

     


    신청 기간 내 신청하지 않아 미지급된 경우 자동 지급 불가 (그러니 꼭 신청하셔야 합니다!!! 신청 안 하면 못 받음....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👉 2차는 별도 확인 절차 없이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. (이 부분이 가장 중요!!!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차 민생회복지원금,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    ✔ 정부 발표에 따르면 상위 10% 소득자는 2차 대상 제외

     

     

    ✔ 즉, 1차 받았어도 2차는 못 받을 수도 있음

     

     

    ✔ 반대로, 하위 90%는 2차까지 모두 지급 대상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지급 일정 

    1차: 2025년 7월 22일 ~ 9월 12일

    2차: 2025년 9월 22일 ~ 10월 31일 (예정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맞벌이라 2차 민생회복지원금 탈락이라고?]

     

    민생회복지원금 2차 맞벌이 4인가구인데 왜 탈락? 건강보험료 기준표 보고 놀람

    “27만 원 넘으면 탈락이라던데 우리도 해당돼?” 지금 모두들 2차 민생회복지원금은 못 받는다고 생각하고 계시죠? 민생회복지원금 2차 제외 기준, 가구 인원수에 따라 달라지니 받을 수 있는

    lifesupport6.simple-life6.com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건강보험료 상위 10프로 제외 기준은?

     

     

  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!! 

     

     

   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본인의 급여명세서에 찍힌 건강보험료가 기준이구나 생각할 텐데, 아니에요!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직장인의 건강보험료는 직장인 본인 50% 납부 + 회사 부담 50%로 내고 있기 때문에, 급여명세서의 건강보험료 x 2를 해야 기준금액이 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구분 설명
    직장가입자 본인 부담금 + 회사 부담금 = 총 보험료 합계 기준으로 판단
    지역가입자 월 건강보험료 전액 기준
    혼합가입자 (직장+지역) 두 금액 합산 기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왜 본인부담금이 아닌 '총액'이 기준인가요?

     

    정부에서 지급 기준으로 삼는 건강보험공단의 표준 통계는 '전체 보험료 총액' 기준이기 때문이에요.

     

     

    즉, 개인이 실수로 "내가 납부하는 돈이 이 정도니까 괜찮겠지" 하면 오산일 수 있어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장기요양보험료도 기준에 포함인가요?

     

    장기요양보험료는 기준금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 별도로 붙는 항목이라 이런 지자체에서 기준을 삼는 건강보험료는 별도로 보시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📣내 건강보험료 정확하게 조회하는 방법 (건강보험료 계산기)

     

    그렇다면, 내 건강보험료가 정확하게 얼마를 납부하는지 아셔야겠죠?

     

     

    사실 급여명세서에 보시면 아래 급여명세서 사진처럼 나온 금액의 x 2를 하시면 대략적인 본인의 건강보험료 금액이 나오지만 

     

    민생회복지원금-2차-대상자-조회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더 정확하게 알고 싶으시다면

    건강보험료 계산기

     

     

    간단히 본인 월 급여를 넣고 조회하면 바로 나옵니다.

    (비과세는 제외하고 넣으세요!!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2차 민생회복지원금 예상 바로가기 👉 ]

    민생회복지원금-2차-대상자-조회

    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나는 받을 수 있나? 조회는 어디서?

     

    현재 공식 대상자 확인 시스템은 아직 열리지 않았지만, 9월 초~중순부터 다음에서 확인 가능할 예정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 [정부 24](https://www.gov.kr/) 또는

     

     

    ✔ 국민비서, 토스, 네이버 앱 ✔ 각 카드사 앱 (지원금 신청했던 카드 기준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👉 단 3초면 조회 가능! 대상자면 ‘지급 대상입니다’라는 문구가 뜹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차도 가능하면 다시 신청해야 할까?

    1차 때 미신청자라면 2차 신청은 반드시 따로 접수해야 지급

     

     


    ✔ 1차 수령자 중 2차도 지급 대상인 경우, 추가 신청 없이 자동 지급

     

     


    ✔ 하지만 주소 이전, 세대 분리 등 변경 사항이 있다면 꼭 본인이 확인해야 해요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👉 민생회복지원금은 주민등록 기준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이사했다면 무조건 확인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

    👉 민생회복지원금 신용카드 vs 지역화폐 비교

     

    👉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, 5초 조회법

     

    👉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으로 최저가 주유소 결제하는 방법